학원가방

우리는 기묘함 앞에서 진정으로 웃을 수 있을까? 티머시 모턴에 따르면 모든 것이 다소간 기묘하다. 따라서 기묘함 앞에서 웃는다는 것은 단지 유쾌한 반응이 아니라 존재 전체에 대한 긍정이 된다. 기묘함을 발견하고, 당혹해하고, 우울에 빠지다가 결국 웃는다. 이것이 모턴이 말하는 생태적 알아차림(ecological awareness) 또는 에코그노시스(ecognosis)다. <어두운 생태학>(티머시 모턴 지음, 안호성 옮김, 갈무리 펴냄)은 이와 같은 기묘한 깨달음에 대한 책이다. 모턴은 보통 객체지향 존재론(OOO)이나 그 친척이라 할 수 있는 사변적 실재론의 일원으로 분류되지만, 책을 이해하는 데 이런 철학사적 분류는 중요하지 않다. 그의 진짜 기여는 그가 생태학을 다루는 방식, 즉 생태학을 사랑스럽게 우울하게, 그리고 즐겁게 만드는 방식에 있다.

한국어판 서문에서 밝히듯 <어두운 생태학>은 그의 생태학 삼부작의 종장이다. 책은 세 개의 실을 통해 생태적 알아차림을 엮어낸다. 첫 번째 실은 낯선 고리(strange loop)을 만드는 생태적 알아차림의 실이다. 낯선 고리는 자기 자신으로 돌아온다는 점에서 고리지만, 자기 자신과 다소간 어긋나게, 다르게 돌아온다는 점에서 낯설고 이상하다.

따라서 그것은 엄밀히 말해 닫힌 고리가 아니라 나선형 용수철이고, 순환이 아니라 소용돌이다. 낯선 고리를 낯설게 만드는 것은 현상과 실재의 불일치, 간극이다. 객체란 사물이 아니라 사물 내부에 도사리고 있는 제거 불가능한 불일치와 간극을 말한다. 생태적 알아차림은 자기 자신과 어긋나고 멀어지는 낯선 고리를 추적하는 것이다.

모턴에 따르면 모든 것이 낯선 고리다. 진화론은 폐가 알고 보니 부레였다는 것을, 즉 그 기원에서 부레로 돌아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뇌과학은 정신이 알고 보니 세포들의 복잡한 전기화학적 작용이었다는 것을, 즉 그 바탕에서 전기와 화학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인류세는 인간이 지구라는 행성적 규모에서 불길한 유령처럼 돌아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류세는 인간의 회귀이기는커녕 "최초의, 온전히 반인간중심주의적 개념"(52)이다. 농업로지스틱스(agrilogistics)란 역사적으로 농업혁명과 관련된 기술, 지식, 실천의 총체이자, 낯선 고리들을 어떤 내적 간극도 차이도 없는 매끈한 현존, 예측 가능성으로 환원하는 공리 체계를 말한다.

농업로직스틱스의 산물 중 하나가 '자연'이다. 예측 가능한 순환과 리듬, 주기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자연'이란 "홀로세(Holocene)와 농업로지스틱스 사이의 우연적 협력에 의해 만들어진 환상"(109)이다. 기후위기, 아니 복합위기는 궁극적으로 이 환상의 끝이다.

따라서 "인류세는 '자연'을 파괴하지 않았으며,
"(110) 오히려 '자연'이라는 개념이야말로 "지구온난화의 주범"(109)이다.

<어두운 생태학>은 또한 소위 신유물론과 OOO의 만남에 대해 많은 실마리를 던져주고 있다. 그레이엄 하먼은 신유물론과 자신의 OOO를 사사건건 대조하면서 OOO를 '비유물론'으로 정식화한 바 있다. 나 또한 이 때문에 신유물론과 OOO, 사변적 실재론 등을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이번에 모턴을 읽으면서 어쩌면 이 견해를 수정해야 할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모턴은 명시적으로 말한다. "사물은 "살아 있습니다(alive). 혹은 오히려, "살아있음"은 생명-무생물의 경계를 초월한 반짝거림의 작은 영역입니다."(193) 그는 명시적으로 베넷을 인용한다.

"쓰레기처럼 보였던 것은 제인 베넷이 그 자신의 생동적 삶이라고 부르는 것을 가지고 있는 객체들입니다."(260) 모턴이 말하는 객체의 살아 있음은 내가 이해해온 물질의 행위성과 다르지 않았다. 물질의 행위성을 행위성으로 만드는 것은 의도나 지향성이 아니라 일말의 놀라움, 의외성, 제어의 곤란함이다. 라투르가 중립적으로 놀라움이라고 부른 것을 모튼은 직접적으로 기묘함, 낯섦, 어둠이라고 부른다. 모턴의 OOO는 물질, 사물, 비인간의 행위성이 가진 기묘하고 어두운 측면들을 독창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신유물론에 대한 속류화된 캐리커쳐를 교정하는 효과를 가진다.

물질의 행위성이란 능동적이기보다는 차라리 기묘하고 낯선 것이다. 복합위기 시대에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런 물질과 사물의 기묘함과 어둠, 즉 그것의 '생태학'에 대한 자각일 것이다. 브라이도티는 과타리를 참조한 것이 분명한 에코소피(ecosophy)를 강조하는데, 나에게는 에코소피가 모턴이 말하는 에코그노시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나는 이러한 신유물론의 생태학적 사유들을 '유물론적 재주술화(materialist re-enchantment)'라고 부른다.

이외에도 모턴과 라투르, 해러웨이, 바라드와의 수많은 교차점을 잡아낼 수 있다. 이 모든 교차점에도 불구하고, 모턴의 가장 큰 기여는 에코그노시스를 통해 신유물론의 생태학적 사유와 성공적으로 공명하면서도 그 부정적이고 정동적인 계기들을 세밀하게 파고들어 어둡고 기묘한 즐거움을 발견해낸다는 데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공교롭게도 올해 1월에 기묘함과 어두움의 영화적 현현이라고 할 수 있는 데이비드 린치가 죽었다. 린치의 영화에 기이한 쾌락이 숨겨져 있다는 것은 그의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알 것이다. 어두운 생태학이 린치적 생태학이라면, 생태적 알아차림은 린치적 명상일 것이다. 복합위기의 시대를 사는 우리는 어쩌면 사물을, 물질을 린치의 영화를 보듯이 경험해야 할지 모른다. 그리고 그 경험의 중심에서, 저월의 끝에서 즐거움에 미쳐 날뛸지 모른다

이 고리는 자기 자신에게 되돌아오지만 정확히 동일한 자리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데 있다. 돌아오되 어긋나고, 반복되되 달라진다. 이 고리는 닫힌 원이 아니라 꼬인 나선이며, 순환이라기보다는 정체불명의 소용돌이다. 무엇이 이 고리를 낯설게 만드는가? 그것은 곧 현상과 실재 사이, 혹은 존재와 인식 사이에 끼어드는 제거 불가능한 차이, 간극, 불일치다. '객체'란 사물 내부에 은닉된 간극 그 자체를 가리킨다.

생태적 알아차림이란 바로 이 간극을 감지하고 자기 자신과 어긋나며 자꾸만 멀어지는 인식의 나선을 따라가는 행위다. 모턴에 따르면 우주는 본디 낯선 고리들의 콜라주다. 진화론은 폐가 사실상 부레였음을, 즉 그것의 낯선 기원으로 회귀함을 보여주면서 생물학을 희극으로 바꾼다. 뇌과학은 정신이 알고 보니 신경세포들의 정교한 전기화학적 오케스트라였다는, 감동스럽기보다는 당혹스러운 사실을 드러낸다. 인류세는 그 비극적 변주다. 인류세에 인간은 행성적 차원에서 유령처럼 되돌아온다. 이것은 단순한 회귀가 아니라 전복이다.

모턴의 표현을 빌리면, 인류세는 "역사상 최초의, 그리고 온전히 반(反)인간중심주의적인 개념"(52)이다. 농업로지스틱스(agrilogistics)란 역사적으로 농업혁명과 관련된 기술, 지식, 실천의 총체이자, 낯선 고리들을 어떤 내적 간극도 차이도 없는 매끈한 현존, 예측 가능성으로 환원하는 공리 체계를 말한다. 농업로직스틱스의 check here 산물 중 하나가 '자연'이다.

'자연'은 실체라기보다 담합의 산물이다. 예측 가능성과 리듬, 주기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자연은 사실 홀로세(Holocene)와 농업로지스틱스의 은밀한 공모 아래 조립된 허상이다(109). 기후위기, 아니 보다 정직한 이름으로는 복합위기는 이 허상의 피로한 마지막 장면이다.

'자연'이란 "홀로세(Holocene)와 농업로지스틱스 사이의 우연적 협력에 의해 만들어진 환상"(109)이다. 이 환상의 끝이다. 따라서 "인류세는 '자연'을 파괴하지 않았으며,"(110) 오히려 '자연'이라는 개념이야말로 "지구온난화의 주범"(109)이다.

결론적으로, 인류세는 '자연'을 파괴한 것이 아니다(110). 오히려 '자연'이라는 이름 아래 숨겨진 개념적 조작이, 지구온난화라는 이 시대의 실질적 주범이다(109). 요컨대, 자연은 자연스럽지 않다. 그리고 우리가 그것을 믿는 한, 이 낯선 고리는 계속해서 우리를 비껴 지나갈 것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